본문 바로가기
역사학

조선시대

by evocative 2024. 3. 5.

조선시대란?
조선시대는 1392년부터 1897년까지 지속된 대한민국의 전신이 되는 왕조 시대입니다. 

이 시대는 세 가지 주요 시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조선시대


1. 건국과 조선 초기 (1392년 - 1506년)
조선시대의 시초는 조선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종식시키고 조선을 건국한 1392년입니다. 이성계는 개혁과 정치적 안정을 추구하여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또한 과거의 사대부제를 폐지하고 양반 제도를 도입하여 균등한 사회 질서를 확립하였습니다. 이후 1506년에 이성계의 손자인 세조가 왕위를 계승하여 중앙 집권화를 강화했고, 경국대전이 편찬되는 등의 문화적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2. 정조와 세도 개혁 (1776년 - 1834년)
18세기 후반부터 19세기 초반에 걸쳐 조선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를 겪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정조가 통치하였으며, 세도 개혁을 추진하여 농업 생산성 향상과 조세 개혁을 이루었습니다. 또한 서적 출판, 학문의 발전, 세속화 운동 등이 활발하게 일어났습니다. 하지만 정조 후반부터는 정치적인 갈등과 사회적 불안정이 증가하였습니다.

3. 근대화와 서구 문화의 유입 (1864년 - 1897년)
조선시대 말기에는 서구 국가들의 침략과 압박, 무역 등을 경험하면서 혼란이 가중되었습니다. 이 시기에는 개화파와 보수파의 갈등이 심화하였고, 민족주의적인 운동과 서구 문화의 유입이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 조선의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항의가 고조되었습니다. 1894년에는 동학농민운동이 종결되었으며, 1897년에 대한제국으로의 전환을 앞두고 조선은 종식되었습니다.

조선시대는 중앙집권적인 통치 체제, 양반 제도, 세도 개혁, 서구 문화의 유입 등의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이 시기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다양한 측면을 연구함으로써 조선시대의 역사와 그 시대의 흐름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정치
조선시대의 정치는 중앙집권적인 체제를 특징으로 했습니다. 조선 태조 이성계가 건국한 이후 중앙에서 국가를 통치하고, 지방에서는 관리들이 지배적인 역할을 수행했습니다.

왕실 중심의 군주제
조선시대의 정치 체제는 왕실 중심의 군주제였으며, 왕은 권력의 최고 지배자였습니다. 왕은 신분상의 권위와 독자적인 통치 권한을 가지고 있었으며, 왕의 명령과 판결은 절대적인 힘을 가졌습니다. 이에 따라 왕의 의지에 따라 임명, 간첩, 법률, 세금 등의 다양한 정책이 결정되었습니다.

중앙 정치 기관
중앙 정치에서는 국무원과 녹봉(녹사장, 봉사장), 사헌부 등의 기관이 조직되어 있었습니다.
국무원은 정치적인 결정과 정책 수립을 담당하는 중요한 기관이었고
녹봉은 조사와 심문, 처벌 등을 담당하는 기관이었습니다.
사헌부는 왕실의 교육, 문화, 예절 등을 총괄하는 기관이었습니다.


양반 제도
중앙에서는 양반 제도가 시행되었습니다. 양반은 사회적 상류층이었으며, 고려시대의 사대부제도를 대체하였습니다. 양반은 고위 관료로서 정치적 권력을 행사하였고, 지방 관리들을 지휘하고 지배했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사회적인 계층 간의 갈등과 부조리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결론
조선시대의 정치는 중앙 집권화, 왕의 권력 집중, 양반 제도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치 체제는 조선시대의 통치 체계와 국가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시대의 유교사상
조선시대의 유교사상은 사회와 인간관계의 기반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유교는 조선시대의 국가 사상으로 채택되었으며, 사회 질서와 도덕적 가치를 중시하는 철학적인 시스템으로 인간의 행동과 윤리적 원칙에 대한 지침을 제공했습니다.

성리학을 기반으로 한 유교사상
조선시대의 유교사상은 주로 성리학이라고 불리는 이론적 체계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성리학은 사회적 질서와 개인의 도덕적 행동을 유지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습니다.

'인(仁)'의 강조
유교사상은 가장 높은 가치를 가진 것으로 **'인(仁)'**을 강조했습니다. 인은 인간애, 인도, 인격, 인간 중심의 사상을 의미하며, 상호 존중과 관계에서의 예절과 도덕적 행동을 강조했습니다.

'예(禮)'의 중요성
또한, 유교사상에서는 **'예(禮)'**라는 개념도 중요하게 다뤘습니다. 예는 예절과 예의를 의미하며, 사회적인 규범과 정중한 행동 양식을 강조했습니다. 예절은 개인의 행동과 태도를 통해 사회적인 조화와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가족 중심의 사회 체제
또한, 유교사상은 가족 중심의 사회 체제를 강조했습니다. 가족은 조선시대 사회에서 중요한 단위로 인식되었으며, 가족 내에서는 상하 관계, 양자 관계 등의 엄격한 유교적 규범과 예절을 따라야 했습니다.

유교사상의 영향
이러한 유교사상은 조선시대의 사회적 질서와 도덕적 가치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국가 통치 체계, 교육 체제, 사회적 관계 등 모든 측면에서 유교적 가치와 원칙을 반영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습니다.

'역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사  (0) 2024.03.05
근대사  (0) 2024.03.05
고려시대  (0) 2024.03.05
고대사  (0) 2024.03.05
선사 고고학  (0) 2024.03.04